서로 다른 컴퓨터 두 대가 통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이 필요한데요,
기본적인 네트워크에 관한 지식은 여기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런 기술들 중에서도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IP 주소(addres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P 주소(IPv4, IPv6)
IP주소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킹이 가능한
장비를 식별하는 '주소'와 같은 개념입니다.
여기서 네트워킹이 가능한 장비는
'데스크톱,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장비를 말합니다.
현실에서도 주소지는 무한정 있을 수 없듯이
IP주소 역시 무한정 존재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하고 전 세계적으로 처음 사용된
주소 체계인 IPv4 역시 그렇습니다.
IPv4는 32bit의 주소 체계로 개수는 약 40억 개 정도입니다.
처음에 IPv4를 채택했을 때도 통신 가능한 네트워킹 장비 수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IPv4로도 충분히 수용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신 가능한 네트워킹 장비의 수가
급격히 늘어났고, 이에 IPv4의 주소는 고갈되어 가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주소 체계가 등장합니다.
그것이 바로 IPv6입니다.
IPv6는 128bit의 주소 체계로 사용가능한 수가 2의 128 제곱 개입니다.
다르게 표현하면,
340,282,366,920,938,463,463,374,607,431,768,211,456개 입니다.
기존 IPv4에 비해 그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기 때문에
IPv4의 고갈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고,
IPv4보다 보안적으로도 뛰어납니다.
그렇다면, 기존 주소체계는 폐기되고 IPv6로 교체되었을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지 않습니다.
기존 주소 체계인 IPv4에서 IPv6로 주소 체계를 변경하는 데는
많은 제약이 따릅니다.
현재 대다수의 주소 체계는 IPv4를 따르고 있기 때문에
갑자기 IPv6로 주소 체계를 변경한다면,
심각한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현재는 IPv4와 IPv6를 공존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IPv4, IPv6 공존 기술
두 주소 체계를 공존하게 하는 기술에는
터널링, 듀얼 스택, 주소/헤더 변환 등이 있습니다.
차례대로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터널링
터널링은 현실에 존재하는 터널과 같습니다.
A와 B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하려고 할 때,
각 네트워크는 IPv6 주소 체계를 따르고
두 네트워크가 통신해야 하는 중간 네트워크는
IPv4 주소 체계를 따른다면 어떻게 할까요?
이럴 때 사용하는 기술이 터널링입니다.
중간 네트워크에 터널처럼 가상의 통로를 만들어
데이터를 IPv4로 캡슐화하여 통과시키는 방식입니다.
통과된 데이터는 다시 IPv6로 전환됩니다.
듀얼 스택
듀얼 스택은 가장 안정적인 방법으로
쉽게 말해 두 가지 주소 체계를 모두 지원하는 방법입니다.
하나의 장비에서 두 가지 주소 체계를 모두 처리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소/헤더 변환
이 방식은 말 그대로 주소 체계를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주소변환기를 사용하여,
IPv4를 IPv6로, 혹은 IPv6를 IPv4로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내가 공부하려고 올리는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우저 동작 원리(쉽게 알아보기) - 렌더링 엔진/DOM/노드(node)(3) (0) | 2021.09.26 |
---|---|
브라우저 동작 원리(쉽게 알아보기) -크롤링/파싱/토큰 (2) (0) | 2021.09.25 |
브라우저 동작 원리(쉽게 알아보기) -URI, 브라우저의 구조 (1) (0) | 2021.09.25 |
Web - Home Server(포트/Port 쉽게 알아보기⚓) (0) | 2021.09.21 |
Web - Home Server(IP, NAT 쉽게 알아보기)💻 (0) | 2021.09.17 |
댓글